학술활동

우리는 미용·성형 병원이라면 프라이빗의 개념이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우리의 생각은 남들과는 다른 길을 가는 대담한 도전이며, 그 도전은 앞으로 메디컬 서비스가 가야할 방향이 될 것입니다.

[미용의학 월간지 D&PS 7월호] 레이저 성형
D&PS
나의 고주파 기기를 이용한 치료 IV
2024-07-29
김기태 원장님께서 지난 6월호에서 바늘삽입 방식의 고주파 기기 특히 프로파운드(PROFOUND)에 대해 설명을 해드렸는데요.
이번 호에서는 한국에서 제조된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 기기에 대해 설명해드립니다.
 
 
 
 
 
 
레이저 성형 : 나의 고주파 기기를 이용한 치료 Ⅳ
 
이번 호에서는 한국에서 제조된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 기기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필자가 사용해 본 기기들을 포함하여 특징적인 부분이 있는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 기기들을 설명하고, 임상적인 의의, 개인적으로 느끼는 장단점에 대해서도 언급하도록 하겠다
 

한국형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 기기들

기본 구조

굳이 한국형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라고 명명한 것은 이전 호에서 밝혔듯이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의 오리지널리티는 켄델라의 PROFOUND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한국형 기기들은 기본적인 삽입 각도가 피부와 직각을 이루는 90°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일반적인 스탬프 형식은 5×5·6×6·7×7과 같이 25·36·49핀으로 정사각형이며, 이 바늘들이 설정된 깊이까지 수직으로 삽입되어 고주파를 인가하고 다시 올라온다. 초기에 발매된 기기들은 대체로 바늘들이 한 쌍씩 짝을 이루어 그 사이에서 고주파가 인가되는 bipolar 형식이었지만, 최근에는 monopolar 형식의 기기들도 많이 선보이고 있다.
 
 
기본적인 파라미터

기본적인 파라미터는 ① 바늘 침투 깊이 ② 조사 시간 ③ 에너지 레벨이라고 할 수 있다. 침투 깊이는 0.3~4.0㎜이며, 조사 시간은 10~2,000㎳로 조절 가능한 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에너지 레벨은 정확한 에너지양을 공개하기보다는 ‘레벨 1’과 같이 표시하여, 그 강도의 정도만 알려주는 형식이 많다. 아마도 각 제조사의 기술적인 비밀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혹은 다른 변수들과 연계되는 복잡한 부분이 있어 정확한 에너지를 표기하지는 않는 것 같다.
바늘이 들어간 진피 부위에 응고 기둥을 길고 넓게 만들기 위해 바늘의 침투 깊이를 깊게 하고, 조사 시간을 늘렸다. 또한 조직 변성을 많이 일으키기 위해 에너지 레벨을 높이곤 하였다. 이것이 기본적인 파라미터 설정법이었다. 그런데 바늘삽입 방식 고주파가 발전하면서 조절할 수 있는 변수들이 너무 많이 생겼다. 예를 들면, 고주파의 파장을 0.5㎒에서 1.0·2.0㎒까지 조절할 수 있다거나, 고주파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펄스를 열 번까지 쪼갤 수 있다거나(펄스 기능), 콘택트 쿨링이 가능해진 것이다.
 
 
 
 
 
 
 
추가적인 내용은 이미지를 통해 확인해주시거나 태성형외과 블로그를 통해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